폐섬유화증은 폐에 있는 폐의 간질이 두꺼워지는 질환입니다. 폐의 간질이라는 것은 폐 속의 제일 말단 부분에 있는 폐포 사이사이의 물질을 말합니다. 이 간질이 두꺼워지고 이로 인해 폐가 딱딱해지는 것이 바로 폐섬유화증입니다.
폐섬유화증은 다양한 원인들이 있는데 지금까지 많이 알려진 것은 여러 가지 나쁜 환경입니다. 폐섬유화증의 환자분이 발생했을 경우 그 주변 환경이 굉장히 안 좋은 것들이 영향을 많이 미칩니다. 대표적인 요인으로 심한 대기오염, 실내 미세먼지, 분진을 많이 접하는 작업 등이 섬유화증을 많이 일으키며, 일반 질환 중에서는 대사성 질환이라고 해서 당뇨병 등을 앓고 있을 때 이런 것들이 자주 발생하기도 합니다. 또 교원성 질환이라고 해서 류마티스 질환이라던지 자가면역증을 앓고 있는 경우에도 폐섬유화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원인 이외에도 아직 알려지지 않은 원인들도 상당수가 있는데 그런 경우는 특발성 폐섬유화증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제일 흔한 것들 중에 만성염증을 일으키는 것이 가장 많은 경우입니다. 대표적인 예가 우리 몸속에 자가면역질환이 있을 경우입니다. 폐에 염증이 반복적으로 생겼을 경우에 폐섬유화증으로 가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또한 독성 화학물질 같은 것들이 자주 장기적으로 흡입됐을 경우 섬유화증을 일으킵니다. 특히 최근에 이슈가 되었던 독성 화학물질 중의 하나가 가습기 살균제 같은 것들입니다. 이러한 독성 화학물질을 장기적으로 흡입하게 되면 그것이 폐를 파괴해서 폐섬유화증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주변의 중금속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미세먼지나 분진이 많은 곳에서 오랫동안 작업했을 경우 폐섬유화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폐섬유화증에 걸릴 경우 폐에는 특별하게 통증이 있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가장 흔한 증상은 만성기침이며 질환이 많이 진행될 경우 어느 순간에는 숨이 차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숨이 차는 것은 평지를 걸을 때는 잘 안 나타나다가 높은 곳에 올라갈 때 숨이 차고 또는 무거운 것들을 들거나 움직일 때 숨이 찬 증상이 발생해서 이 질환 자체가 점점 진행이 되고 악화돼서 결국 나중에 호흡부전 때문에 사망까지 이르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개 3층 이상 올라가면 숨이 차다 싶으시면 본인이 폐섬유화증이 있는지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폐섬유화증 초기에는 약물치료를 통해 치료를 하는데, 약물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나 이미 폐섬유화증이 너무 많이 진행이 된 경우에는 폐 이식치료를 하게 됩니다. 폐 섬유화가 있는 경우에는 미세먼지, 다른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악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평소에 미세먼지라던지 먼지의 노출이 많은 지역은 가급적이면 외출을 삼가시는 편이 좋고, 많은 사람이 모여있는 곳에는 감기나 다른 질환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은 피해야 합니다. 또한 온도 변화가 심한 경우에도 감기나 다른 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쉽고 면역기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온도 변화가 심한 곳에는 되도록 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폐섬유화증에 걸리면 폐암 발생률이 일반인보다 약 8배 정도 높습니다. 그래서 적어도 1년에 한 번 정도는 CT촬영을 통해 폐암이 발생하는지를 꼭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흡연을 하고 있다면 폐암 발생률이 많이 높아지기 때문에 반드시 금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폐섬유화증은 초기에 진단된 경우에는 치료 경과가 좋아 일반인들과 같은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중증이 아닌 경우에는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따라서 일단 폐섬유화증이 의심된다면 빨리 진단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표피낭종, 피지낭종 염증단계와 치료법! 생기는 원인 (0) | 2021.04.29 |
---|---|
임파선이 붓는 이유(자가진단법)! 림프절염 종류와 치료법 총정리! (0) | 2021.04.27 |
베체트병 증상과 치료법, 관리법! 베체트병에 좋은 음식 (0) | 2021.04.27 |
쇼그렌증후군 증상 총정리! 발생원인과 치료법, 관리법까지! (0) | 2021.04.23 |
레이노증후군 치료법과 관리법! 증상과 원인, 수족냉증과의 차이점! (0) | 2021.04.2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