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아스퍼거 증후군 증상(자가진단법)과 원인, 치료법까지!

hikari17 2021. 5. 10. 12:23

아스퍼거 증후군 증상(자가진단법)과 원인, 치료법까지!

 

아스퍼거 증후군이란?

아스퍼거 증후군은 현재 DSM-5에서 자폐스펙트럼 장애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에 걸린 아이들은 학교 성적은 뛰어나고 공부도 잘하는 듯 하지만 다른 아이들과 동떨어진 취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금 특이한 아이라고 생각하고 지나치기 쉬운데 사춘기가 되었을 때 또는 성인이 되어 뒤늦게 드러나기도 합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은 정서적인 교류가 요구되는 환경과 상황에서 좀처럼 어울리지 못하고 사회적 집단에 녹아들어 가지 못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의 원인

아스퍼거 증후군은 거울 뉴런의 기능 저하가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 몸에서 사람의 기분, 감정, 분위기를 살피고 모방을 가능하게 해주는 신경세포는 거울 뉴런인데, 이 거울 뉴런의 기능이 떨어지게 되면 맥락을 파악하는 능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때문에 교과서 위주의 학습에서는 유리할 수 있지만 사회성에는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또한 특정 상황에 꽂혀 있을 경우, 시지각, 청지각 같은 외부 자극을 환기시킬 수 있는 감각기관의 기능이 떨어졌다면 이것 역시 아스퍼거 증후군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스퍼거 증후군 증상

사회적 교류를 위한 비언어적인 행동들 즉 눈 맞춤, 얼굴 표정, 몸짓 및 제스처 등에 현저한 장애가 있고, 다른 사람들과 행복과 기쁨을 나누고자 하는 자발적인 행동이 없으며 분위기를 못 맞추고 맥락을 이해 못하는 것이 아스퍼거 증후군의 주요 증상입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은 사회적인 맥락을 파악하는 능력이 부족하고 주의 전환을 할 수 있는 감각기관의 정보를 통합하는 능력이 부족합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의 가장 큰 특징이 이러한 주의 전환 능력이 부족한 것인데 쉽게 말해 관심사가 제한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주의 전환능력이 부족하면 한 가지 주제나 상황에 빠져들기 쉽고 그로 인해 주변에 대한 인식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어떻게 보면 고도의 집중 상태라고 생각될 수도 있겠지만 주의 환기를 통해 분위기를 파악하고 본인의 관심사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최소한의 능력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런 경우 뇌파검사를 진행했을 때 사회인지에 영향을 주는 뇌파인 뮤파(mu)가 보입니다.

 

아스퍼거 증후군 자가진단법

1) 공감능력이 부족하다.

2) 친구가 없고 따돌림을 당한다.

3) 표정이 없거나 이상한 표정을 짓는다.

4) 신체 움직임이나 동작이 어색하고 서투르다.

5) 흥미나 관심이 폭넓지 못하고 제한적이고 반복적이다.

6) 자기 방식만을 고집하여 타인과 관계 맺기가 안된다.

7) 목소리 통과 리듬이 이상하거나 시선처리가 이상하다.

8) 말은 잘하지만 상대방의 수준과 요구에 맞춘 언어를 사용 못한다.

9) 분위기를 못 맞추고 맥락을 이해 못한다.

 

 

 

성인 아스퍼거 증후군

아스퍼거 증후군은 어렸을 때부터 상호작용의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친구들 사이에서 굉장히 따돌림을 당하고 심리적인 부분에서 많이 상처를 받기도 하지만 지능이 뛰어난 경우에는 학업성적은 괜찮아 학교에서 그냥 공부 잘하고 조용한 학생으로 간과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학창 시절에는 좀처럼 문제점을 인식하지 못하고 여러 문제들이 성인기에 터져 나가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후 성인이 되고 사회로 진출한 뒤 사람들과 동료들 가운데 인정받지 못하고 관계상에서 상처를 입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게 때문에 사회적으로 자리를 잡았더라도 아스퍼거 증후군 증상으로 의심되거나 걱정되는 부분이 많이 나타난다면 그냥 간과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아스퍼거 증후군 치료법

아스퍼거 증후군은 조기에 진단될수록 치료가 수월한데 진단이 늦어질수록 회복과 치료가 어렵습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은 증상의 정도에 따라 경중을 나눌 수 있겠지만 가볍다고 해서 증상이 좋아지는 것이 수월한 것도 아니고, 심하다고 해서 어려운 것도 아닙니다. 때문에 중요한 것은 아스퍼거 증후군의 원인을 살펴보고 정확한 진단과 검사를 통해 맞춤형으로 치료를 진행하는 것입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의 치료방법에는 크게 면역치료와 감각발달치료(단일 감각 활성화, 다양한 감각과의 연합과 통합, 팀 운동 등), 사회성 발달치료(역할놀이, 상상놀이 등)가 있습니다.